여행을 좋아해 여행업을 시작하고 없는 시간을 쪼개 어디든 다니는 게 취미이다.
특별히 남들이 다 가는 유명 지역만 선호하지는 않지만 어쩔수 없이 가 봐야만 일을 할 수 있었다.
그랜드 캐년 네군데 림을 섭렵해야 됐고 거기에 서부 쪽 여기저기를 모두 돌아봐야 했다.
유명 명소야 원래 누구든 한번은 다녀가니 한국인을 만나는 건 이상한 일도 아니다.
어느 곳을 가든 우리가 익히 알고 있는 유명지역에는 한국 사람들이 늘 보였다. 여기저기 한국 말이 들려 신기할 정도...
그런데.. 우리 한국인 인구가 5천 1백만이라는게 맞나? 하는 생각이 들었다.
우리보다 훨씬 인구가 많기로 소문난 중국, 일본, 또 인도까지 어디를 가도 만날 수 있는 건 아닌데 한국인은 어디를 가도 꼭 만난다.
그래서 우리끼리 우스게 소리로 한국 인구조사가 잘못된 거 아니야라고 말하곤 했다.
이유가 궁금하다. 어떻게 그렇게 얼마 안 되는 인구로 어디를 가나 끼어있지 않은 곳이 없을까?
여행지에서 뿐이 아니고 좋은 일, 나쁜 일 심지어는 사고 소식을 들을 때마다 자주 한국인은 포함되 있었다.
나름의 결론은 우리는 쉬지 않고 어딘가를 가보고 있었고, 정보에 빠르며 누구든 가본 곳이면 우리도 가봐야 된다고 생각하는 것 아닐까?
맞든 안 맞든 실제로 어딜 가나 한국인을 만날 수 있는 건 사실이니 분명 그중에 하나의 이유로 종결될 듯~~😁
내가 살고 있는 그랜드 캐년 근처 이 삭막한 오지(?)에도 우리 한국 사람은 있다. 우리 주변에 아시안은 우리뿐..
많은 시련이 있었지만 잘 이겨내고 이제 이곳에 들어온 지 8년째다.
아.. 갑자기 떠오른 생각인데 우리 한국인에게 붙여진 별명중에 하나가 "잡초'가 있었다.
처음 그 이름을 들었을 때는 의아했는데, 지나고 보니 맞는듯하다. 언제 어디서나 힘들어도, 또 누군가 짓밟아도 다시 살아나는 게 잡초이다.
우리는 어디를 가나 그렇게 살아남아있고 또 발전하며 나아가고 있다고 믿는다.
뉴멕시코주를 지나 텍사스로 갈 때 하루 쉬어 가려고 들렸던 아주 조그마한 동네에서도 한국인 이웃이 있다는 주유소 캐시어를 만났고, 레이크 타호를 가기 위해 깊은 산을 넘어갈 때 들렸던 주유소의 주인분도 한국인이었다.
이렇게 뜻밖의 장소에서 한국인을 만나고 한국말이 들리면 너무도 반갑다. 역시 의지의 한국인... 화이팅을 외치며 응원하고 응원받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