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IT 과학

구글 스칼라, 구글 학술 검색( Google Scholar)

by Yumee 2023. 8. 30.
반응형

구글 스칼라, 구글 학술 검색이란?

많은 구글의 서비스와 제품들 중에 매우 생소한 서비스가 있어 한 번 알아보려 한다.

구글 검색은 우리가 무엇을 찾으려면 늘 먼저 열게 되는 창이다. 그런데 구글 학술 검색은 조금 생소하다.

말 그대로 학술 검색이 필요한 곳에서 사용을 한다고 보면 될듯하다.

 

학술 논문, 학술지, 학회 발표록 등과 같은 학술적인 자료를 검색할 수 있는 구글의 무료 검색 서비스이다. 이 서비스는 학술 연구자, 학생, 교수, 연구기관 등에게 학문적인 정보를 찾는데에 도움을 준다.

구글 학술 검색의 특징

1. 학술 자료: 논문, 논문 초록, 학술지, 학회 발표록, 책 등 다양한 학술적인 자료를 검색할 수 있다.

2. 인용 정보: 검색 결과에서 각 학술 자료의 인용 횟수와 인용된 자료들을 확인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어떤 논문이 다른 논문들에 영향을 미치는지 파악할 수 있다.

3. 저자 프로필: 학술 연구자들의 저자 프로필을 볼 수 있고, 해당 연구자의 발표한 논문 목록을 확인할 수 있다.

4. 최신 연구 트렌드: 다양한 분야의 최신 연구 트렌드를 확인하고 해당 분야의 연구동향을 파악할 수 있다.

5. 검색 필터: 검색 결과를 연도, 저자, 학술지 등의 다양한 기준으로 필터링하여 보다 정확한 정보를 찾을 수 있다.

구글 학술 검색(Google Scholar)을 효과적으로 사용하는 방법

1. 정확한 검색어 사용: 원하는 정보를 찾기 위해 정확하고 구체적인 검색어를 사용한다. 관련된 키워드, 논문 제목, 저자명 등을 입력하여 검색 결과를 좁힐 수 있다.

2. 인용 검사: 특정 논문이 다른 논문들에 얼마나 인용되었는지 확인하는 것이 유용하다. 인용 횟수가 많을수록 해당 논문의 영향력이 높을 가능성이 높다.

3. 필터링 사용: 검색 결과 페이지에서 필터링 옵션을 사용하여 연도, 저자, 학술지 등을 조절하여 원하는 정보를 더 정확하게 찾을 수 있다.

4. 인용된 논문 탐색: 특정 논문의 인용 목록을 확인하여 관련 연구를 찾을 수 있다. 이를 통해 주제의 다른 연구를 탐색할 수 있다.

5. 저자 프로필 확인: 특정 저자의 논문 목록과 인용 정보를 확인하여 해당 분야의 전문성과 영향력을 평가할 수 있다.

6. 새로운 연구 트렌드 확인: 최신 논문들을 확인하여 해당 분야의 최신 연구 동향을 파악할 수 있다.

7. 구글 학술 설정 활용: 구글 학술 검색 설정에서 언어, 나라, 연구 분야 등을 설정하여 사용자 맞춤 검색을 활용할 수 있다.

8. 저장 및 알림 설정: 특정 키워드나 연구자를 관심 목록에 추가하고, 이메일 알림을 설정하여 관심 있는 내용의 업데이트를 받을 수 있다.

구글 학술 검색은 주로 누가 사용하나?

1. 학술 연구자: 학문적 연구와 논문 작성을 하는 연구자들이 자신의 분야에 관련된 최신 연구를 탐색하고 관련 논문들을 찾는 데에 사용한다.

2. 대학생 및 대학원생: 학생들은 연구 과제를 위해 관련된 논문들을 찾고 인용 정보를 수집하며, 학술적인 자료를 활용하여 학습과 연구를 진행하는 데에 활용한다.

3. 교수 및 강사: 교육자들은 강의 자료를 준비하거나 학생들에게 추천할 논문을 찾는데에 사용하며, 학생들에게 최신 연구 동향을 소개하는 데에 활용한다.

4. 연구 기관 및 도서관 직원: 학술 연구를 지원하고 학술 자료를 관리하는 기관이나 도서관 직원들은 구글 학술 검색을 활용하여 사용자들에게 필요한 자료를 제공하는 데에 활용한다.

5. 산업 및 기술 분야 전문가: 특정 분야의 최신 기술 동향이나 연구 동향을 파악하고 싶은 기업의 연구자나 기술 전문가들도 활용한다.

 

** 구글 학술 검색에 대해 공부하며 느낀 점은 글을 쓰고 있는 우리 블로거들에게 혹은 글로 수익을 만들어 보겠다고 나선 우리들에게 정말로 필요한 서비스가 아닐까 하는 생각이다. 요새 와서 쳇지피티를 많이 활용한다. 아주 편리해졌다. 하지만 아직은 많이 미흡하다. 때로는 틀린 정보를 줘서 확인이 필요할 때도 꽤 있다. 이러한 상황에 우리에게 절대적으로 필요한 서비스가 바로 구글 학술 검색이 아닌가 생각된다.